MY MENU
진도군 정식 혈통서 5대~6대까지 보존! '품종이 좋은 혈통' 진도개 분양 진도개천국은 진도군에서 지정된 우수한 진도개 견사입니다.

진도개 외모

표준체형
구분 표준체형 해설
일반외모 암수의 구별이 뚜렷하고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중형견으로서 민첩한 외모를 갖추어야 한다.
  • 얼굴표정은 온화하여 차분하고 친근감이 있어야 하고 소박한 표정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 얼굴은 군살과 주름이 없으며, 입술은 쳐지지 않고 단단한 느낌을 주어야 한다.
  • 귀, 눈, 코, 입 등 전체적인 모양은 안정감이 있고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성견(여) 48cm ~ 53cm
성견(남) 45cm ~ 50cm
  • 체고와 체장의 비는 100:110이 바람직하다.
머리와 얼굴 정면에서 볼때 이마는 넓고 귀 사이는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 머리는 전체적으로 둔해보이지 않아야 되고, 이마는 약간 돌출되어 옆에서 볼 때 둥그스런 모양이며, 이마와 주둥이는 6:4의 비율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진도개이미지
  • 눈새 부분은 골이 깊지 않으며 심하게 꺽이지 않아야 하고, 뺩의 양쪽은 완만하고 둥글게 양 옆으로 나와 있으며, 코끝을 향하여 좁아져야 한다.
  • 입술은 검은 피부로 아래로 처지지 않아야 하며 다른 색으로 변색된 것은 좋지 않다.
  • 혀에 푸른반점이 없어야 하며, 윗 입술이 아랫입술으 가볍게 덮고 있어야 바람직하다.
삼각형태로 머리와 알맞은 조화를 이루고 운동이 극히 활발하고 앞쪽으로 숙여 서있어야 한다.
  • 귀는 두꺼우며 귀 속의 털은 부드럽고 촘촘한 것이 바람직하며, 귀의 숙인 각도가 앞이마와 직각을 유지해야 한다.
  • 귀의 길이는 눈과 눈 사이에서 코끝까지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타원형인 눈 끝이 위로 향하고 안색은 일반적으로 농갈색이며 투명하고 광체가 나야한다.
  • 눈은 균형을 잃지 않은 범위 내에서 작을수록 좋으며 눈동자는 위쪽으로 붙어 있을수록 예리하게 보이고 야성적이며 집념이 강하고 수렵성이 뛰어나다.
흑색을 원칙으로 한다.
  • 콧구멍은 크고 잘 열어져 있어야 한다.
  • 코끝이 약간 나온 상태가 바람직하다.
  • 백색개의 코는 담홍색도 무방하다.
튼튼하고 직선이어야 하며 등의 앞부분이 약간 높아야 한다.
  • 등은 바르고 힘이 있어야 하며 튼튼하게 발달되어 있어야 하고 충분한 폭과 길이를 가져야 한다.
  • 걸을 때 흐느적거리지 않고 탄력이 있어야 바람직하다.
밑으로 처지지 않아야 한다.
  • 복부가 흉심과 비숫하거나 동일하게 보이는 것은 너무 비만한 상태임
가슴 늑골은 탄력성이 있고 가슴은 잘 발달되고 적당히 깊으며 너무 넓지 않다.
다리 앞다리는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고 직립이 되어야 한다. 뒷다리는 적당한 가격으로서 몸체를 전방으로 미는 인상을 주며 힘있게 밟아야 한다.

앞다리

  • 앞다리는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곧고 단단하며 발목은 약간 경사를 이루며 발통은 모아져 있어야 한다.
  • 몸에 비해 다리뼈는 지나치게 굵지 않아야 하며 발모양은 고양이 발처럼 도톰하고 탄력성이 있는 것이 좋다.
  • 앞다리는 앞에서 볼 때 곧고 평행으로 이루며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뒤틀려서는 안된다.
  • 옆에서 볼 때 발목은 약간 앞으로 경사를 이루며 견갑골과 상완골의 적당한 각도는 100도 ~ 120도가 좋으며 슬관절의 각도는 140도 ~ 150도가 적덩하다.

뒷다리

  • 전강이는 145도 ~ 150도로 알맞은 각도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
  • 곧은 자세로 힘차게 땅을 딛고 있어야 하며 근육, 힘살, 인대 등이 장 긴축 되어있어야 한다.
꼬리 몸에 알맞게 굵고 힘있게 올려 지고 길이는 정강이까지 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 꼬리의 종류에는 낫꼬리(낚시꼬리), 말린꼬리 등이 있다.
  • 꼬리의 털은 모체의 털보다 더 길어야 하며 수양버들처럼 들어져서는 안된다.
  • 말린꼬리의 경우 크게 한번 정도 말린(꼬리의 끝이 미근부에 살짝 닿은 정도) 형태는 무방하나 심하게 말린 경우 좋지 않다.
걸음걸이 걸음걸이와 뛰는 모습은 자연스러워야 하며 뒤에서 볼 때 앞다리가 직선이어야 하고, 옆에서 볼 때 등이 곧아야 한다.
  • 걸을 때 등과 허리는 똑바르게 수평을 유지하며 엉덩이는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달릴 때 신속하면서도 탄력성을 유지하고 생동감이 넘치며 유연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
  • 측대보는 안된다.
털과색 피모가 이중모이며 겉털은 빳빳하고 윤택하며 속털은 부드럽고 조밀하다.
  • 몸털, 등털, 꼬리털의 길이가 각각 다른데 꼬리털이 제일 길며 밤송이처럼 털이 수직적으로 쭉쭉 뻗어야 한다.
  • 황구 : 황구 중 양 볼과 주둥이 옆, 가슴, 배밑, 앞가슴 등에 희미하게 다른색이 들어가 있는 황구도 있다. 그러나 꼬리 끝에 나타나는 흰점은 결점이다.
  • 백구 : 백색으로 잡색이 섞여 있으면 안된다. 다만 귀와 정강이 끝에 노란색의 털이 있는 것은 무방하다.
피부 적갈색을 원칙으로 하며, 피부가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아야 한다.
수염 양쪽에 균형있게 나와 있어야 하며 산발적으로 흐트러지거나 오그라들지 않아야 한다.
이빨(치아) 튼튼하고 치열이 고르며 위, 아랫니가 잘 교합을 이루어져야 하며 결치가 없어야 함을 원칙으로 한다.
  • 위 턱의 앞니와 아래턱뼈 절치 위에 가위모양으로 약간 덮여있는 상태로 톱니바퀴처럼 맞물린 것이 정상적인 교합이다.
  • 결치가 있거나 치열이 고르지 못하거나 치아의 지나친 마모현상, 변색(주로 황화현상)등은 바람직하지 않다.
  • 개의 치아는 42개이다.
품성 진도개는 대담, 용맹하며 기민하면서도 신중하고 유 혹에 쉽게 넘어가지 않는다. 충성, 용맹, 경계, 수렵 및 귀가본능, 결백, 대담, 비유혹성 등의 우수한 품성을 가져야한다.
  • 주인에 대하여는 극도의 충성심을 보이며 낯선 사람을 경계한다.
  • 수렵성 : 사냥을 할 수 있는 품성
  • 귀소성 : 집으로 돌아가고 출발하였던 장소로 돌아오는 품성
  • 변견성 : 도둑을 지키거나 망을 보는 품성
  • 충직성 : 충성스럽고 정직함을 나타내는 품성
  • 용맹성 : 상대 동물에 대하여 용감하고 사나움.
  • 경계심 : 타인의 침입이나 사고가 생길 경우 주인에게 알리는 품성
  • 결벽심 : 다른 견종에 비하여 깨끗함을 좋아하는 품성
  • 비유혹성 : 남이 꼬여도 주인의 말만 들음
  • 예민성 : 재치나 감각, 행동등이 날카롭고 민감한 품성
머리부위
몸표면 명칭
뼈명칭
  • 골격의 구분 주축골격은 몸통뼈와 머리뼈로 구분된다. 몸통뼈는 척추, 늑골, 흉골로 구분되며, 머리뼈는 뇌두개, 안면두개, 설골로 이루어져 있다. 부대골격은 전지골(앞다리뼈), 후지골(뒷다리뼈)로 구성된다. 내장골은 동물에 따라 심장골(소)와 음경골(개)이 있다.
  • 개의 몸통뼈수 경추7개, 흉추13개, 요추 7개, 천추 3개, 미추 16~23개, 진늑골 9쌍, 가늑골 4쌍, 흉골 8개